 |
Akhal Teke(아칼 테케)
|
|
|
Akhal Teke(아칼 테케) |
 머리는 아랍종과 유사하여 길고 눈이 크며 상대적으로 긴 귀와 목을 가졌고 짧지만 윤기있는 갈기와 꼬리가 특징이다. 좁은 가슴과 긴 허리, 평평한 갈비뼈, 긴 다리와 두드러진 건을 볼 수 있다. 평균 키는 150~153cm, 보통 모색(毛色)은 암갈색이지만 투명한 황금색을 띄는 적갈색이나 회색도 있다.
 힘이 좋고 용기있는 말로 유명하며 3000여년 동안 경주마로 알려져 있었지만 현재는 장애물 비월과 마장마술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1935년 15두의 Akhal-Teke 마필이 아스카바드에서 모스코바 까지 약 481km의 카라쿰 사막을 물 없이 횡단했다고 한다. "Absent"라는 마필이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마장마술 부분에서 우승한 기록도 남아있다. | | |
Altai(알타이)
|
|
|
Altai(알타이) |
 머리가 길고 커서 약간은 둔해 보이며 목이 두텁다. 등은 길고 약간 움푹하며 엉덩이가 잘 발달되어 있고, 다리는 짧지만 적절히 자리잡고 있다. 때로 회목뼈(뒤꿈치와 발톱과의 사이)가 가파르게 형성되어 있거나 비절의 인대가 부어있는 결함이 발견되기도 한다. 평균적으로 수말은 140cm, 암말은 137cm 정도 이다.
 알타이종은 그들의 고향이라 불리는 타이가 산의 거친 대륙기후 조건에 큰 영향을 받으며 오랫동안 발전되어 왔다. 거친 산을 근거지로 하는 부족들에게는 강한 심장, 폐, 근육, 인대와 튼튼한 발을 가진 말들이 언제나 중요한 존재였다. 이런 말들은 가파른 산과 바윗길, 물살이 빠른 시내와 강을 사람과 함께 다녀야 했고 이런 환경 속에서 알타이 종의 발전은 강인한 동물의 탄생이라는 결과를 낳았으며 그 곳 사람들과는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 | |
American Cream Draft(아메리칸 크림 드래프트)
|
|
|
American Cream Draft(아메리칸 크림 드래프트) |
 `아이오와의 보물` 1911년 아이오와주 스토리 카운티의 한 농장 세일에 American Cream으로 알려진 첫번째 말 `올드 그레니`가 나타났다. `올드 그레니`가 새끼를 밴 시기는 1900~1905년 사이로 그 때는 단지 같은 혈통 안에서 교배하기 위해 시장에 나왔었다. 그 새끼 밴 모습에 매료된 수의사 에릭 크리스천은 넬슨 브로스를 설득, 그의 망아지 중 한 마리와 교배하여 크림색이 풍부한 흰색의 갈기와 꼬리, 분홍빛 피부, 호박색 눈을 가진 새로운 종을 탄생시켰다. 그 후 `올드 그레니`로 부터 나온 첫 stallion이 `넬슨 벅`이다. | | |
Andalusian(안달루시안)
|
|
|
Andalusian(안달루시안) |
 안달루시안은 특별한 외관을 하고 있는 데 주로 흰색이나 밝은 회색이지만 가끔 적갈색을 띄기도 한다. 훌륭한 몸의 비율을 가진 컴팩트한 말로서 키는 보통 154.4cm 이다. 갈기와 꼬리의 털은 풍성하고 평평하거나 약간 봉긋한 코, 작은 귀를 가진 머리는 튼튼한 목 위에 자리하고 있다. 가슴엔 꽤 살집이 있고, 나머지 반신은 마른 편이다. 다리는 깨끗하고 움직임은 활기차다.
 중세로부터 안달루시안은 많은 주목을 받아 왔으며 순종 스페인 말로서 공식적으로 알려져 왔고 뛰어난 학습능력과 훌륭한 기질로 인해 수세기 동안 완벽한 말의 화신으로 세계에 명성을 떨쳤다. 안달루시안은 Iberian Saddle Horse, Iberian War Horse, Jeunet, Giuete, Lusitano, Alter Real, Carthusian, Spanish Horse, Portaguese, Denniusular, Castilian, Extremeno, Villanos, Zapata와 Zamaranos의 이름들로 대표된다. 스페인은 로마시대부터 그 품종의 질과 외관에서 자신들의 말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왔는데, 7세기경 어인들이 스페인을 침략하면서 Barb Horse를 함께 들여왔다. 이 동양의 말들과 토종 스페인 말들 사이에서 나온 것이 `안달루시안`으로 중세 유럽의 귀족들이 매우 선호하던 말이었고, 1500년경은 Lipizzaner종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더 최근에는 기병대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한 때 그 수가 줄어들었으나 오늘날 신체적 외관과 눈부신 움직임 때문에 가장 타고 싶은 말 중 하나가 되었다. | | |
Appaloosa(아팔루사)
|
|
|
Appaloosa(아팔루사) |
 Appaloosa의 유산은 독특하고 다양한 색깔의 털 형태에 있다. 반점과 돋보이는 색으로 인해 쉽게 눈에 띄고 주목을 받지만 이 종의 능력과 아름다움은 외관보다 더 깊은 곳에 있다.
 Appaloosa는 거의 모든 종목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주트랙에서 속도경쟁, 높은 레벨의 Dressage, Jumping, gawes, reining, roping, pleasure, endurance 그리고 얌전한 가족용 말에 이르기까지 이 모든 역할을 다양하게 해낼 수 있고 이 말들의 즐기려는 성향과 얌전한 기질은 어떤 일이라도 즐겁게 수행하게 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어린이들의 기승에 자주 선택된다. Appaloosa는 먼저 그 색깔로 사람들의 시선을 뺏고 자신의 성정과 능력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바로 얻어낼 것이다. | | |
Arab(아랍)
|
|
|
Arab(아랍) |
 튀어나온 눈, 큰 콧구멍, 작은 찻잔만한 주둥이를 가진 머리가 특징이며 멋지게 아치를 이루는 목은 넓은 가슴과 길게 흐르는 어깨선 위에서 뻗어 나온다. 모색(毛色)은 회색, 밤색, 적갈색, 밤색에 흰털이 섞인 것, 가끔은 완전히 검은색이 나타난다. 대개 144.3~154.4cm 사이의 키와 363~454kg의 몸무게를 가진다.
 사막의 베두인 부족에게는 말이 신으로부터의 선물이라고 믿는 많은 이야기들이 전해져 내려왔다. 그 중 한 전설은 신이 사막을 만들면서 한 생물에게 남풍을 불어 넣었고 그 생물은 날개 없이 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어쨌든 말은 사막으로 왔고, 베두인족은 상으로 가족 중 하나를 받은 것처럼 여겼다. Arab은 사막의 먼 길을 횡단하기 위해 때로 부족간의 전쟁을 위해 길러졌으며 생존을 위해 말들을 강하고 용감하게 키웠고, 전투에서 이기기 위해 속도와 민첩성을 향상 시켰다. 유럽인들이 그들의 승용마를 향상시킬 방법을 찾을 때 Arab이 순수혈통으로 수입되었다. 영국으로부터 시작된 품종 개량은 프랑스, 독일, 스페인, 폴란드, 헝가리, 러시아까지 이어졌다. 오늘날 Arab은 세계 어디서나 찾아 볼 수 있고, 모든 가벼운 말의 종에는 Arab피가 흐르고 있다. 고대 베두인 사람들은 말의 순수 혈통을 지키는 데에 아주 엄격했기 때문에 수세기가 지난 오늘날에도 Arab은 다른 종과 분명히 구분된다. | | |
Breton(브레톤)
|
|
|
Breton(브레톤) |
 152.4~162.6cm의 키에 주로 무거운 짐을 끌거나 농경에 사용되었다.
 Breton종의 기원은 프랑스에서 시작한다. 그 기원에 있어 긴 역사만큼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4000년 전 아시아로부터 유럽으로 이주해온 아리안들이 데려왔다는 이야기도 있고, 다른 이들은 지금 영국을 이루고 있는 켈트족의 전사들이 정복사업에 한창일 때 유입된 작은 말들을 기르고 향상 시킨 데서 시작되었다고도 한다. 대초원지대 말들의 후예로 추정되는 켈트족이 타던 말들은 브레튼산에서 오랫동안 발견되어 왔다. 십자군 원정 때 이 말들은 동양의 말들과 만나 Bidet Breton을 만들게 되고 중세 말기에는 두 종류의 Breton이 존재하게 된다. `Sommier`라 불리는 노던 브리타니팩 말과 비데산에서 유래한 Sommier보다 작고 날씬한 `Roussin`(다리가 짧고 튼튼한 승마용말=cob)이 그들이다. Bidet Breton은 그 편안한 걸음걸이때문에 중세시대 많은 장교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그 후로 각각의 경제적 수요에 의해 많은 교배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많은 숫자로 인해 Breton은 프랑스에서 가장 많은 짐수레 말이 되었고 세계 각지로 수출되고 있다. 또한 힘이 세고 튼튼하며 넘치는 에너지 때문에 작은 농장이나 시장상인들 사이에서는 아직도 사용되는 말이며 오늘날 프랑스에서는 고기를 얻기 위해 주로 사육되고 있다. | | |
Budyonny(부지온니)
|
|
|
Budyonny(부지온니) |
 키는 약 153.4~162.6 cm 이고, 털의 색깔은 일반적으로 밤색이지만 적갈색이나 회색을 보이기도 하고 드물게는 갈색 또는 검정색을 띄기도 한다.
 Budyonny는 전 소비에트 연방에서 유래되어, 러시아 혁명의 영웅 Budonny에 의해 군용말을 기르기 위한 목적으로 러시안 종과 영국 순혈종의 교배를 통해 발전되었다. 이 종은 승마용이나 가벼운 마차를 끄는데 적합하며 점프도 잘한다. 자유롭고 쉬운 움직임을 갖고 있으며 힘이 넘치지만 성격은 온순하여, 현대 마장마술을 위한 스포츠 말로서도 매우 훌륭하다. | | |
Cheju(제주)
|
|
|
Cheju(제주) |
 어깨높이 113㎝, 몸길이 122㎝로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으며, 몸길이가 긴 독특한 체형으로 다른 말들보다 뚜렷하게 작다. 몸의 균형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잡혀 있으며, 얼굴이 넓다. 모색은 밤색과 붉은빛을 띤 갈색, 젖빛을 띤 흰색 등이다.
 제주마는 부여 및 고구려 때부터 사육되어온 말로서 기록상으로 1073년과 1258년에 탐라에서 고려에 제주마를 진상한 기록이 있으며, 1273년에 원나라가 탐라를 침공한 뒤 약 100년간 몽골말이 유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제주마는 과하마(果下馬) 또는 토마(土馬)라고도 하였는데 과하마란 이름은 제주마가 몸집이 작아서 과수나무 밑을 갈 수 있는 말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성질이 지극히 온순하여 사람을 잘 따르며 명령에도 잘 순종한다.
| | |
Clydesdale(클라이즈데일)
|
|
|
Clydesdale(클라이즈데일) |
 Clydesdale은 눈 사이가 멀고 넓은 멋진 이마, 로만-코나 접시코와는 다른 평평한 옆얼굴, 넓은 주둥이, 큰 콧구멍, 맑고 깨끗하며 영리해 보이는 눈, 큰 귀, 비스듬한 어깨와 그 어깨 사이의 높은 융기에서 멋진 아치를 이루며 올라오는 긴 목을 가진다. 좋은 외형으로는 등이 짧고 갈비뼈는 둥근 술통의 살처럼 척추에서 잘 뻗어 나와야 하며 네 다리는 길어야 하고, 허벅지는 근육과 힘줄로 잘 짜여 있어야 한다. 또한 크고 넓으면서 예리하게 발달된 무릎을 가져야 한다. 잘 관리된 Clydesdale은 울퉁불퉁한 근육질이 아닌 군더더기 없는 몸에서 나오는 힘과 깨끗한 움직임이 인상적이다. 일반적인 모색은 적갈색, 검정색, 갈색과 밤색이고 이들 색을 바탕으로 흰털이 전체적으로 섞인 말들도 있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후구의 무릎 아래쪽으로 보이는 양말같은 흰털과 유난히 반짝이는 얼굴이다.
 Clydesdale은 무거운 마차를 끌기 위해 개발된 말로써 이 종이 발견된 스코틀랜드의 지방에서 그 이름이 유래한다. Clyde강 유역의 Lanarkshire (Clydesdale의 최근이름)의 농부에 의해 종의 타입이 진화되었고 농부들의 농경을 위한 수요 뿐 아니라 그 지방의 석탄교역과 모든 종류의 무거운 짐들을 끌기 위해 길러졌다. 이 종의 명성은 이 지역에서 머물지 않고 스코틀랜드 전역과 북부 잉글랜드까지 널리 퍼졌다. 작업이나, 쇼 또는 취미 생활로 필요한 말이 활동적이지만 다루기 쉽고, 영리하고 맵시 있으면서도 실용적이어야 한다면 Clydesdale을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한다. | | |
Connemara pony(코네마라 포니)
|
|
|
Connemara pony(코네마라 포니) |
 124~144 cm 의 작은 키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점프와 사냥실력으로 유명하여 장거리 승마나 마장마술 같은 다양한 events에 뛰어나다. 몸은 아담하고 탄탄하지만 심한 근육질은 아니고 다리는 짧고 뼈대가 굵으며 깨끗하고 둥근 어깨를 가진다. 잘 생긴 머리와 적당히 경사진 목 위에는 갈기가 풍성하게 나 있고 꼬리털도 역시 풍부하다. 모색은 원래 암갈색이었으나 지금은 드물고 회색이 가장 많다. 또한 적갈색, 검정색과 밤색도 나타날 수 있다.
 전해 내려오는 바에 의하면 스페인 혈통의 이 말은, 1568년 아일랜드의 서쪽 거친 해안에서 난파된 아르마다(스페인의 무적함대)에서 구출된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 | |
Dutch Warmblood(네덜란드 온혈종)
|
|
|
Dutch Warmblood(네덜란드 온혈종) |
 Dutch Warmblood는 "온혈 스포츠말" 이다. 온혈 (Warmblood)은 간단하게 이 종을 "냉혈"(견인마)종과 "열혈"(서러브레드와 아랍)종으로부터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스포츠 말"은 국제 승마의 주 종목인 마장마술, 장애물, 종합마술, 마차경기 등을 위한 경기 또는 레크리에이션을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의미이다. 근대의 Dutch Warmblood는 네덜란드의 토종인 겔더랜더와 그로닝겐으로부터 진화했다. 오늘날 네덜란드에는 다음과 같이 뚜렷한 세 가지 마종이 있다. * Rijpaard type - 승마용. 가장 많고 국제적으로 중요하다. 마상체조, 장애물, 마장마술, 마차경기에 선택된다. * Tuigpaard type - 마차쇼용. 매우 스타일리쉬하며 높은 발걸음의 마차용 말로서 아메리칸파인 하네스와 비슷하다. 겔더랜더와 해크니의 피가 섞여있지만 주로는 겔더랜더 혈통으로 본다. * Basis type - 베이직. 초창기 겔더랜더를 연상케하는 말로서 맵시가 있고 승마용, 마차경기용, 농업용등에 두루 사용되며 승마용과 마차쇼용으로 쓰이는 올드 겔더랜더의 유자를 계승하는 중요한 말이다. | | |
Frederiksborg(프레드릭스버그)
|
|
|
Frederiksborg(프레드릭스버그) |
 Frederiksborg는 밤색의 강하고 매력적인 말이다. 갈기와 꼬리의 색은 주로 밝은 아마색(노란 빛을 띈 갈색)을 띈다. 일반적으로 얼굴과 다리에 흰 선이 있다. 평평하거나 콧등이 불룩한 얼굴, 입쪽으로 뾰족하고 움직임이 큰 귀, 크고 표정이 풍부한 눈이 균형잡힌 머리를 이룬다. 중간길이의 목은 적당한 근육으로 아치를 이루며 잘 자리잡고 있으며, 등선마루는 두드러져 있고 넓다. 어깨선은 가파르며 근육이 좋다. 근육질의 다리는 넓은 관절과 튼튼한 뼈대, 선명한 힘줄이 힘을 낸다. 또한 작고 거친 발을 가졌다.
 덴마크에서 가장 오래된 마종으로 Frederiksborg에 있는 왕실 종마의 말들 중에서 자취를 찾을 수 있다. 그 영향으로 이 말은 유럽에서 가장 훌륭한 종마 중 하나였다. 우아하고 믿을 만한 이 말은 기승 교육용말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17~19세기 동안 이 종은 다른 종의 개발과 향상을 위해서도 쓰여졌다. 이 종은 우선 부드럽고 아름다운 움직임으로 승마용으로 개발되었고 좀 더 큰말들은 왕실의 마차를 끄는데 사용되었다. 이 종의 유명세로 인해 세계 각지에 많은 수출이 됨으로써 정작 스웨덴에는 적은 숫자만이 남게 되었다. 종의 개체수는 계속 감소하여 1839년 왕실 종마장은 폐쇄되었고, 종을 지키고자 하는 몇몇 개인 사육자들만이 아주 적은 수의 순수 혈통 말들을 유지시키고 있다. 1939년, 종의 재정립을 위한 노력이 시작 되었고, Fresian과 Oldenberg종, 나중에는 서러브레드와 아라비안 종이 사용되었다. | | |
Friesian(프러시안)
|
|
|
Friesian(프러시안) |
 Friesian의 긴 갈기와 꼬리도 유명한데 태어난 이후 자르지 않아 땅에 닿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이 종은 털이 복실복실한 편이고 다리 중간에서부터 발 끝까지 털이 길게 늘어져 있다. 대부분 흑색이며, 종종 이마에 흰 반점이 있다.
 Friesian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길들여진 종 중에 하나이며, 네덜란드 북부 Frieland 지방에서 유래한다. 농경과 운송의 기계화로 그 수가 감소하는 위기를 겪었는데 결정적인 원인은 제1차 세계대전이었다. Oldenburg종을 만나면서 이 종은 다시 일어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많은 갈채를 받으며 미래를 보장받고있다. 주로 가벼운 경작에 사용되며 서커스와 마차경기에서도 볼 수 있다. | | |
German Warmblood(독일 온혈종)
|
|
|
German Warmblood(독일 온혈종) |
 온혈종은 열혈종인 서러브레드와 냉혈종인 견인마종의 교배 혹은 서로 다른 온혈종들의 교배로 이루어진 종이라 할 수 있다. | | |
Hannoverian(하노베리안)
|
|
|
Hannoverian(하노베리안) |
 Hannoverian은 고상하고, 알맞게 된 온혈종 말로 경쾌한 속보, 리듬감있는 구보와 땅을 커버하는 평보를 갖고 있다. 이 종의 고향은 과거 400년간 말 번식 사업이 번창했던 하노버왕국의 Lower Saxony 주이다.(현재 독일 북부) 이 종은 모든 대륙으로 퍼져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대표적인 승용마 종이다. | | |
Highland Pony(하이랜드 포니)
|
|
|
Highland Pony(하이랜드 포니) |
 가장 순수한 영국 원산종 중의 하나로 188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검증된 혈통과 기록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0년 전 하이랜드 포니는 스코틀랜드의 하이랜드와 섬 전역과 지금은 멸종된 Galloway와 가까운 관계를 갖고 있는 스코틀랜드 접경 지역에서 사역마였다. 18, 19세기에 하이랜드 협곡과 섬의 고립으로 인해 Islay, Rhum, Mull and Barra strains 같은 많은 종들이 분리되었다. 또한 Eriskay도 하이랜드 포니의 가벼운 품종으로 간주된다. | | |
Holsteiner(홀스타이너)
|
|
|
Holsteiner(홀스타이너) |
 중형 체구에 162.6~172.7cm의 체고이며 강력한 후구와 강한 등, 허리를 갖고 있다. 아치형의 목은 각도가 잘 잡힌 어깨에서 크고 총명한 눈을 가진 작은 머리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장애물, 마장마술, 마차경기 등에 필수적인 인상적이고 우아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독일 북부지방에서 750년간 체계적으로 육종 된 품종이다. 원래 이 말은 독일 농부들로부터 힘과 안정성, 신뢰성을, 군인들로부터 용기와 민첩성을 인정받고 있었다. 기계화와 전후 독일의 상황이 새로운 육종을 필요로 하게 했으며 지금은 장애물, 마장마술, 종합마술, 마차경기에 맞는 독일 최고의 스포츠 마필로 발전되었다. 영국의 서러브레드와 앵글로 노르만 종의 교잡을 통해 발전이 이루어졌다. | | |
Knabstrup(카납스트롭)
|
|
|
Knabstrup(카납스트롭) |
 평균적인 체고는 150~160cm로 깨끗하고 건조한 다리와 크고 건장한 후구 그리고 작지만 정제된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아름다운 점(点)이 있는 털과 다양한 모색이 있다.
 덴마크가 원산이며 바이킹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말들은 스피드와 지구력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기본적인 품성은 온순한 체질이다. 1100년 경 중국이 무역을 위해 접경지대를 개방하고 비단과 다른 물품들을 수송하는데 사용하면서 급격히 퍼졌다. | | |
Lipizzan(리피짠)
|
|
|
Lipizzan(리피짠) |
 태어날 때 모색은 어두운 갈색이나 갈색 또는 회색인데 6~10세 정도에 하얗게 된다. 원래의 짙은 색으로 남는 경우는 거의 없다. 큰 말은 아니며 평균 145.3~155.4 cm 정도이다. 총명하고 순한 기질은 물론 튼튼한 몸, 화려한 행동과 수송능력으로 알려져 있다.
 1560년대 초반 당시 무어인 지배하의 스페인에서 순수 아랍종이 소개되어 스페인 말과 교잡된 것이 시초이다. 1562년 막시밀리안 2세가 스페인 말들을 오스트리아로 가져와서 클라드럽에서 종마 사육장을 건립했고 그의 형제인 찰스 대공이 1580년 아드리아해 근처의 리피짜 지방에서 종마 사육장을 건립했다. 이 리피짜 종마 사육장에서 리피짠(Lipizzan)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클라드럽 사육장은 중(重) 수송마를, 리피짜 사육장은 승용마 및 경(輕) 수송마로 알려져 있으나 두 사육장은 매우 밀접하게 연결돼 있었고 육종마들을 교환하기도 했다. 클라드럽 사육장은 현재 리피짠의 종마인 Maestoso와 Favory를 생산했다. 리피짠의 역사를 논하면서 스페인 승마학교를 말하지 않을 수 없다.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1572년 오래된 승마 홀과 학교를 교체하기로 결정하였다. 새로운 홀과 학교는 1735년 찰스 4세의 후원에 의해 투르크인들을 격퇴한 후 도시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비엔나의 황궁 안에 건립되었다. 학교의 목적은 마장마술의 원칙에 따라 젊은 승마인과 마필을 훈련시키는 것을 포함한 고전적인 승마 기술의 영속화와 리피짠 말의 육종으로 가장 좋은 마필 혈통 만이 유지되었다. | | |
Miniature(미니어쳐)
|
|
|
Miniature(미니어쳐) |
 미국 미니어쳐는 '크기' 품종이다. 다 컸을 때 34인치를 넘으면 안 된다. 이것은 땅에서 갈기의 가장 마지막까지의 크기를 잰다. 이 작은 말들은 그들의 더 큰 사촌 종의 복제이며 Quarter Horses, Arabs, Thoroughbreds, Draft Horses와 비슷하게 생겼다.
 미국 미니어쳐 말 협회의 기준은 작고 건전하고 균형 잡힌 말로서 난쟁이나 발육 부진 또는 돌연변이여서는 안 되고 거의 완전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선택적인 육종에 의해서 만들어져야 한다. 이 종은 나이가 많거나 적은 모든 사람들에게 즐거운 동반자가 되고있으며 어린이나 성인의 재활치료와 스트레스가 많은 일을 가진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용 승마로 도움이 되고있다. | | |
Mongolian(몽골리안)
|
|
|
Mongolian(몽골리안) |
 평균 체고는 수컷 128cm, 암컷 127cm이나 환경 조건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몽골리안 말은 몇 종의 중국 토종말 중에서 가장 중요한 품종 중 하나이다. 중국의 북동부, 북부, 북서부에 걸쳐 주로 고원과 고산지방에 널리 분포돼 있다. 주로 승마 및 수송용으로 사용되지만 젖과 고기를 얻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몽골리안 말은 사역 능력이 뛰어나며 수송용으로 4마리의 말이 약 2천kg을 싣고 하루에 50~60km를 걸을 수 있다. 잔디가 자라는 계절에는 암컷으로부터 하루에 4~5번 우유를 짤 수 있고 한 번에 짜내는 양은 50g 정도이다. 연간 생산량은 300kg 정도 이다. | | |
Morgan(모간)
|
|
|
Morgan(모간) |
 크기는 144~154cm 정도이며 털 색은 검정색, 팔로미노, 사슴색, 회색도 있지만 주로 밤색, 적갈색, 고동색이다.
 모건 말의 선조인 '저스틴 모건'은 살아 있는 전설로 눈에 띄지 않는 망아지에서 품질 좋고 신용 있는 말들의 아버지가 되었다. 1789년에 태어난 모건은 "Figure"로 알려진 작고, 거친 털을 가진 망아지로 태어났다. 1791년에 태어난 곳인 스프링필드를 떠나 새 주인인 학교 선생 저스틴 모건을 따라 메사추세츠로 갔고 주인의 이름을 따서 '모건'이라고 알려졌다. 혈통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Dutch와 서러브레드 또는 아랍 혈통으로 추측된다. 작은 적갈색의 수말은 30년 동안 버몬트의 길과 들판에서 길고 힘든 시간을 일하며 보냈는데 점차 그 지방 사람들은 이 말의 재주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고, 142cm에 불과한 크기로 사역마보다 몸집이 작고 다리가 긴 경주마보다 키가 크지도 않았지만 두 종류보다 성능이 뛰어났기 때문에 점차 명성을 얻었다. 이 조그만 수말의 영웅담이 커져 감에 따라 수많은 암말들과 교접하게 되어 하나의 품종을 이루게 되었다. 오늘 날의 '모건'들은 그들의 선조와 거의 다르지 않다. 이 품종의 굉장한 용기, 기질, 바탕과 타입은 200년 전부터 중요하게 남아 있으며 그 뛰어난 기질은 세계로 퍼져나가 현재 캐나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와 남미에서도 볼 수 있다. | | |
Mustang(무스탕)
|
|
|
Mustang(무스탕) |
 대부분의 무스탕은 경(輕) 마필 또는 온혈종으로 모색은 말들에서 발견되는 모든 색깔이다. 스페인 혈통은 희석되었으나 많은 말들은 스페인 말의 특성을 나타낸다.
 미국의 야생마 또는 BLM(Bureau of Land Management. 토지관리국) 말로도 알려져 있는 무스탕은 미국 서부에서 발견되는 야생마이다. 무스탕이라는 이름은 스페인어로 야생 또는 부랑자를 뜻하는 mesteno, monstenco에서 왔다. 이들은 원래 스페인 말 또는 그 후손이나, 세월이 흐름에 따라 몇몇 종들과 섞이게 되었다. 유럽 정착민들이 데려온 말들 중 일부가 야생 무리에 편입되기도 하였고 미국 동부의 야생마 떼도 문명화에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미시시피 강을 건너 서부의 야생마와 합쳐졌다. 무스탕 혈통에 기여한 또 다른 혈통은 East Friesian이다.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반 그 시기의 East Friesian은 중(重) 온혈종 또는 마차 끄는 말로서 대포나 무거운 웨건을 끌게 할 목적으로 구매되어 미국 기병대가 가는 곳이면 어디나 이 말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몇 마리는 무리에서 탈출해서 미국 무스탕의 혈통에 합류하였다. 야생마의 영역에서 순수 스페인 혈통의 말은 없다고 수 세기간 믿어져 왔으나 최근 아주 고립된 지역의 몇몇 야생마 무리에서 스페인 혈통을 이어 온 말들이 발견되었다. 이들 중에 Kiger와 Cerat Mustang이 있다. | | |
Norwegian Fjord(노르웨지언 피요르드)
|
|
|
Norwegian Fjord(노르웨지언 피요르드) |
 모색은 매우 다양하며 키는 평균 123cm 정도인데 선택적 육종으로 132~143 cm 정도로 키를 크게 하였다. 수말은 142~144cm 정도이고 암말은 133~135 cm 정도이다.
 Fjord, Norges Fjordhest (Norwegian), Fjording, Nordbag, Nordfjord, Northern Dun, Norwegian Dun, Norwegian Pony, Vestland, West Norway, West Norwegian으로도 불리는 노르웨이 피요르드 말은 노르웨이에서 가장 오래된 품종이다. 약 4000년 전에 원래의 피요르드 종이 노르웨이와 스칸디나비아 반도로 이주하여 기원전 2000년 경 토착화한 것으로 추산된다. 그들은 노르웨이에서 2000년간 선택적으로 육종되었고 첫 선택 프로그램은 1880년대 중반에 시작되었다. 이 포니종을 바이킹은 전쟁에 이용했고 서부 유럽인들은 농경에 이용했다. 현재의 모든 서부 유럽의 드래프트 종은 이 노르웨이 피요르드 종의 후손으로 생각되고 있다. 현재 노르웨이에서 모든 육종은 노르웨이 정부 기관에 의해 조정되고 있고 챔피언 말들만 수출할 수 있다. 피요르드는 이제 캐나다, 미국, 영국,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덴마크, 스웨덴 등에도 등록되어 있다. 약 22마리의 피요르드 말이 1950년대 중반 미국에 수입되었다. 이들의 후손들이 북미 전역에 걸쳐 분포되었다. 피요르드 말은 그들의 뛰어난 신뢰성으로 구별된다. 수 세기동안 노르웨이 육종인들은 조용하고 부드러운 성품을 강조해 왔다. | | |
Oldenburg(올덴버그)
|
|
|
Oldenburg(올덴버그) |
 뛰어나게 교배를 하고 사이즈가 큼에도 불구하고 Oldenburg는 탄탄하지만 상대적으로 다리가 짧고 관부 또한 짧다. 후구는 잘 발달되어 튼튼하며 마차용 말부터 내려오는 길고 튼튼한 목을 가지고 있고 착한 품성을 그대로 나타내 주는 눈이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가슴은 움푹하고 큰 체구에 적당한 발굽을 볼 수 있다. 모색의 종류는 다양하나 대표적으로는 검정, 갈색, 회색이다.
 1987년 독일승마협회에 등록된 말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그 개체수가 많다. 사실 이 종의 교배지 규모로 보아 위의 비율(80%)은 왜곡된 부분도 없지 않지만 독일에 있어서 그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종은 Spanish, Neopolitan 그리고 Barb, Thoroughberd, Hannoverran의 피가 섞여 태어났고 주로 마차를 끄는 말이다. 초창기 Oldenburg는 힘이 세고, 체격이 좋으며 멋진 검정 모색을 갖고 있고 착한 성품과 일반 기승이나 마차 끄는 것에도 적극적이라고 알려졌다. 근대에 이르러 마차의 필요성이 감소하며 Throughbred와 Norman의 배합을 늘려 기승용으로의 특성을 강조 시켰다. 로마제국의 황제 레오포드 1세가 결혼식 때 검은 Oldenburg종을 타고 그의 신부는 흰 담비색 8두가 끄는 마차를 탔다고 한다. 독일 사육조합은 많은 제한을 하는 반면 Oldenburg 사육조합은 최고의 수말을 찾는 노력을 지속한 결과 타 독일 온혈종보다 키가 크며 가볍고 우아함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 |
Orlov Trotter(올로프 트롯터)
|
|
|
Orlov Trotter(올로프 트롯터) |
 전반적으로 균형있는 체형으로 전두가 길며 턱은 넓고, 목은 길면서도 약간 높이 위치한다. 허리는 긴 편이나 평평한 편이며 엉덩이는 둥글고 가슴은 넓어 좀 둔해 보이기까지 한다. 모색은 회색, 적갈색, 검정, 그리고 밤색이다. 평균 수말의 체고는 162, 사선 몸길이 164, 가슴둘레 187cm정도 되며, 암말 체고 160, 사선몸길이 164, 가슴둘레 186cm정도 이다.
 1775~1784년 사이에 Khrenov 종마목장에서 A.G.Orlov에 의해 탄생되었다. Khrenov에서 Bars I이 태어났고 Orlov의 조상으로 Bars I의 탄생은 Arabian, Dutch, Danish, Mecklen 종의 교배로 이루어졌다. 중앙 러시아에서 마방과 넓은 방목장의 혼합 사육방식으로 모든 환경에 잘 적응하게 되었다. 특히 농경직을 위해 많이 활용되었고 레저용이나 경기용으로도 널리 사용되며 옛 소비에트 연방에선 자체 종자의 향상에 활용하기도 하였다. | | |
Palomino(팔로미노)
|
|
|
Palomino(팔로미노) |
 PHBA(아메리카 Palomino 사육조합)는 142.2~172.7cm 내의 체고에 14캐럿 금 동전 빛깔 정도의 모색을 가져야 등록이 가능하다. 피부는 핑크빛과 점박이를 제외한 회색, 검정, 갈색, 혼색일 수 있다. 눈은 보통 검정, 담갈색 또는 갈색이다. 갈기와 꼬리는 적갈색이나 밤색이 15% 미만으로 섞인 흰색이어야 한다.
 "Golden horse"라 불리는 이 종은 고대 황제, 왕족, 여왕들에게 선호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고의 종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국제적으로 흩어져 있다. PHBA(아메리카 Palomino 사육조합)는 Palomino의 순종을 등록하여 보호하고 계량해내기 위해 1930년 후반 캘리포니아 주에서 시작되었다. Palomino는 부모 계열이 American Morgan Horse Association, American Quarter horse Association, American Saddlebred Horse Association, Arabian, International Arabian, Jockey Club 에 등록되어 있다면 PHBA에 등록될 수 있다. | | |
Percheron(페르슈롱)
|
|
|
Percheron(페르슈롱) |
 이 종의 정확한 근원지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정확하게는 8세기와 중세 무렵에 프랑스 Leperche 지방의 토종 암컷과 Arab 수말의 교배로 이루어졌다. 십자군원정 시대에는 치아의 견고함과 튼튼함 그리고 아름다운 외관으로 유명하였다. 17세기만 해도 Percheron은 152.4~162.6 cm 정도의 체구를 가진 비교적 가볍고 활발한 종으로 알려져 있었고, 19세기에 이르러 프랑스에서 군대용으로 말의 번식을 하기 위해 Lepin 종마목장을 만들었으며 1823년 Le Perche에서 태어난 Jean Le Blanc는 현대의 Percheron의 직계 아버지라 할 수 있다. | | |
Przewalski(프체발스키)
|
|
|
Przewalski(프체발스키) |
 타 말들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좀 더 튼튼하면서 작고 갈기가 서 있으며 꼬리가 낮게 위치한다. 흔한 색은 적갈색이며 등줄기와 어깨를 따라 줄이 있고 코와 배쪽은 좀 더 밝은 색을 지닌다.
 Przewalski는 마지막 남은 야생마종으로, 다른 마종(馬種)들은 어느 시기때 한 번은 길들여졌던 말들의 후손들이다. 1990년 중반까지만 해도 야생에서 찾아볼 수 있었지만 이후 사냥꾼들로 인해 멸종되었다. 이 종은 1881년 러시아 탐험가 Colonel Przewalski가 처음 발견하여 그의 이름을 따라 명명되었으나 Przewalski 재단은 이 시기보다 더 먼저 두 명의 유럽인들에 의해 발견 되었다고 한다. 어떤 학자들은 Przewalski가 현대의 모든 마종의 조상으로 주장하고 또 어떤 학자들은 Przewalski는 길들여진 다른 마종과는 유전자부터 틀린 종이라고 주장한다. | | |
Quarter horse(쿼터 호오스)
|
|
|
Quarter horse(쿼터 호오스) |
 Quarter horse는 미국 서부의 텍사스, 오클라호마, 뉴멕시코, 콜로라도 동부, 칸사스주에서 주로 발달되었다고 하지만 어떤 학자들은 이 종의 첫 시작이 캐롤라이나와 버지니아라고 주장한다. 단거리 레이스를 즐기던 원주민들에게는 좀 더 나은 말이 필요했으며, Quarter horse라는 이름은 6km (1/4 마일)내에서의 훌륭한 스피드로 인해 붙여졌다고 한다. | | |
Shetland pony(셰틀랜트 포니)
|
|
|
Shetland pony(셰틀랜트 포니) |
 섬의 특유 기후로 인해 털이 덥수룩한 편으로 Shetland 포니는 성격은 온순하고 크기에 비해 강하며 짧지만 근육질의 다리가 특징이다. 평균 사이즈는 94.5cm 정도이며 103.6cm 를 넘지 않는다.
 이 종은 기원해 온 스코틀랜드의 북쪽 해안에 위치한 Shetland섬의 이름을 따라 지어졌으며 영국의 말 품종 중 제일 오래 되었고 세계적으로 제일 유명한 포니라 할 수 있다. 현재는 보통 애완용으로 사용되긴 하나 작은 마차를 끄는데 활용되기도 한다. | | |
Shire(샤이어)
|
|
|
Shire(샤이어) |
 Shire 종의 정학한 기원은 옛 이야기 속에서 사라졌지만 언제부터였는지는 확실한 정보가 있다. Walter Gilbey 경은 저서 "stud book" 제 1권에서 이렇게 말한다. "Shire는 중세 저자들이 말하는 '위대한 말'의 초창기 형태 중에서 가장 순수한 생존자이다. 이 말이 잉글랜드에 그 기원을 두지는 않는다 해도 잉글랜드는 Shire,를 생산하고 키워 내는데 널리 명성을 얻었다. 잉글랜드의 '위대한 말'은 그 힘과 용기, 훈련에 임하는 자세에서 영국산 '전투마'로부터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Shire와 잉글랜드의 운명은 역경 속에 함께 하게 된다. 헨리 2세와 엘리자베스 여왕의 통치 시대에 정부의 지속적인 목표는 '위대한 말'들의 크기와 숫자를 늘리는 것이었는데, 갑옷을 착용한 기마병들의 무게가 181kg 이상이었기 때문이다. 존 왕이 통치하던 1199~1216년 사이에는 네덜란드의 플랑드르 지방에서 몸집이 큰 수백마리의 수말이 수입되었다. 이 플랑드르 말들은 전체적으로 검정색 바탕에 얼굴과 다리에 백반들이 있다. 그리고 대개는 발목에서 무릎까지 흰털이 덮여있고 키가 크며 사지가 가늘고 길다. 근육은 잘 발달되어 있고 관부의 윗쪽 끝에서부터 구절까지 많은 숱으로 장식되어 있다. 1509~1547년 헨리 8세의 통치기간에는 보다 강인한 말을 길러내기 위해 몇몇 법안이 상정되어 1535~1541년 동안 시행되었는데 바로 '152cm 미만의 말은 사육금지, 스코틀랜드를 포함하여 모든 수출금지'였다. 즉 전쟁은 Shire에게 물려진 유산인 것이다. | | |
Standardbred(스탠다드브레드)
|
|
|
Standardbred(스탠다드브레드) |
 Standardbred는 조상인 서러브레드의 형상을 닮았는데 평균 154.4cm 정도이며 몸통이 긴 편이다.
 Standardbred는 마차용 말 중 제일 빠른 종이다. 1800년 초 마차경주에 빠져 있던 미국에는 Morgan의 시대라고 할 정도였지만 1849년 Standardbred종의 모부(foundation sire) Hambletonian10이 탄생하며 이를 바꿔 놓았다. 이 종의 이름은 등록 대상의 조건(standard) 때문에 붙여졌으며 조건은 속력이나 족보(breeding)로 결정되었다. | | |
Suffolk(서퍼크)
|
|
|
Suffolk(서퍼크) |
 Suffolk는 크지만 견인에 용이하게 전완과 대퇴부는 짧고 강한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굽은 둥글고 크며 허리는 짧고 튼튼하다. 후구는 길지만 만국이 부드러우며 다른 개체보다 조금 높은 편이다. 평균 키는 165.6cm 정도이며 수말의 경우 172.7cm 이상인 경우도 있다.
 근대의 견인용마로 제일 유명한 Suffolk종은 중세기 때의 전쟁용마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전쟁이 끝난 후엔 영국 동부의 농부들에 의해 Suffolk Punch가 개발되었다. 경작용으로만 활용하고 잘 팔지 않았기 때문에 순수한 혈통이 유지될 수 밖에 없었다. | | |
Thoroughbred(서러브레드)
|
|
|
Thoroughbred(서러브레드) |
 오늘날 Thoroughbred의 평균 키는 162.6cm를 조금 넘지만 원래의 기원이 되었던 말들의 키는 보통 142.2cm 였다고 한다. 그러나 평균은 평균일 뿐 완벽한 Thoroughbred는 이런 모습이어야 한다는 법칙은 없다. 챔피언마가 보여주는 모습이 바로 완벽한 Thoroughbred의 모습인 것이다. 이상적인 Thoroughbred로서 갖추어야 될 일반 사항은 다음과 같다. 날씬한 다리와 453.6kg 이상의 몸을 이끌고 장거리를 시속 56~64km의 속도로 달릴 수 있어야 하고 그 후에도 지시에 따라 방향과 페이스를 바꿀 힘이 있어야 한다. Thoroughbred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곳은 머리의 모양과 위치, 그리고 눈의 모양이다. 넓게 자리잡은 영리한 눈과 꽤 평평한 이마를 가진 머리는 나머지 몸통과 정확하게 비례하여야 하고 다른 종과 비교하여 악간은 길고 가벼워 보이는 목 위의 조금 낮은 위치에 머리가 자리해야 한다.
 Darley Arabian, Godolphin Arabian, 그리고 Byerly Turk 이 세 종을 조상으로 하는 하나의 종이 Thoroughbred이다. 선택적 교배 과정의 핵심은 종의 계보가 완벽하다는데 있다. 초기 Thoroughbred종의 기록은 불완전하지만 뛰어난 능력을 보여 주기 전에는 이름을 붙이지 않는게 일반적이었다. Thoroughbred는 무거운 짐을 지고 지속적인 스피드로 먼 거리를 갈 수 있으며 그 질적인 면에서 경마스포츠의 새 장을 싹 틔웠다. 250년 이상 선택된 말들을 교배하여 최고의 말들을 키워냈으며 경주 트랙에서는 우수하고 뛰어난 업적들을 남겼다. 부유층의 오락 스포츠로 시작했던 경마는 이제 세계 전역에서 수백만 달러의 산업이 되어 그 경제적 효과가 그 지역과 나라에 미치고 있다. | | |
Trakehner(트레커널)
|
|
|
Trakehner(트레커널) |
 현재 162.6~172.7cm 정도의 크기로 우아한 움직임 때문에 마장마술에 뛰어나 기질을 보인다. 또한 후구의 관절, 근육이 강한 편이어서 장애물 비월에도 적합하다.
 Trakehner는 동부 프로이센에서 기원된 것으로 알려진 유럽의 온혈종 말이다. 전쟁 이후 농가에서 사용될 수 있게 교배되었으며 서러브레드의 크기와 인내력, 정신력을 안정성있던 토착종에 더하였고, 이 후 아랍종이 섞이면서 더욱 우아해 졌다. | div <> | | |
| // |